본문 바로가기
자료/성명·논평·기자회견

[공개질의서] 전북도청 대변인실 광고비 지급 논란 관련 “언론에 보도된 내용이 사실이 아니다”라는 전북도의회 기자단에 묻습니다.(2024.06.10.)/ 일부 내용 수정

by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2024. 6. 7.

 

1.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이하 전북민언련)은 지역 언론 환경을 감시‧견제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언론시민사회단체입니다.

 

2. 본회는 지난 5월 서울신문 보도로 촉발된 전북도청 대변인실 광고비 지급 논란과 관련해 <‘갑질’부터 ‘용돈’ 의혹까지 불러온 대변인실 광고비 지급 논란, 철저한 감사 및 기자단 해명 촉구한다>는 성명을 6월 3일 발표하고 ▲홍보비 집행 원칙 기준 마련 및 투명성 확보 ▲전북기자협회 연수 상황 점검 ▲전북도의회출입기자단 진상 조사 및 공개 ▲감사위원회 철저한 조사를 요구했습니다.

 

3. 이후 본회는 전북기자협회를 통해 6월 4일 아래와 같은 전북도의회 기자단의 입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핵심은 “언론에 보도된 내용이 사실이 아니다”는 것입니다.


전북기자협회는 언론에 보도된 내용이 사실이 아니다는 전북도의회 기자단의 입장을 받았습니다전북기자협회 연수는 자체 경비로 운영되며 도가 자체 판단으로 일부 언론사에 집행한 광고와는 무관하다는 입장입니다단 전북기자협회는 도 감사 등으로 인해 연수를 잠정 연기했으며 추후 결과를 지켜본 뒤 대응할 예정입니다


 

4. 전북도의회 기자단이 공개한 입장으로는 보도에서 제기된 의혹이 해소되지 않는 지점들이 있습니다. 이에 전북도의회 기자단에 묻습니다.

첫째, 위 입장은 전북도의회 기자단의 공식 입장입니까? 아니면 전북기자협회 소속 전북도의회 출입 기자들만의 입장입니까? 기자단 공식적인 논의로 도출된 입장입니까?

둘째, 전북도의회 기자단이 주장하는 ‘사실이 아니라는 부분’은 정확히 보도의 어떤 내용을 가리키는 것입니까?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떤 부분이 사실이 아닙니까? 본회는 위 광고비가 “일종의 여행을 앞둔 기자들 (일부)에게 제공한 ‘우회적 용돈’이 아니었는지 의심”이 가는 부분이 있어 이에 대한 해명이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참고로 보도에서 지적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관련 보도 내용)
- 자신을 좋지 않게 평가하는 전북도의회 출입 지역 언론사 기자들에게 거액의 선심성 광고비를 지급해 도마 위에 올랐다. 여행을 가는 기자 7명에게 1개사 당 400만 원씩 2800만 원의 광고비를 지급하여 입막음을 시도했다는 지적
- A 간부는 부적절하게 광고비를 집행했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A 간부가 본인과 사이가 좋지 않은 전북도의회 출입 기자들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광고비를 지급했다.


 

5. 다시 한번 전북도의회 기자단에 요구합니다. 광고를 받게 된 경위 및 사건을 인지하게 된 이후 기자단의 대응까지 진상 조사를 통해 진위를 소상히 파악하고 해당 내용을 지역사회에 공개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회는 전북도의회 기자단의 입장을 기다리며 향후 이와 관련해 파악되는 내용을 모두 공개할 것임을 밝힙니다.

 

▸ 답변 요청 시기 : 2024년 6월 12일(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