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니터/선거 보도 모니터86

2018 전북 지방선거 미디어감시연대) 전북지역 방송4사 보도국장 면담하고 왔습니다. 지난 5월 11일 을 주문하는 제안서를 들고 전북 지역 방송사 보도국장을 면담하고 왔습니다. KBS전주총국, 전주MBC, JTV 전주방송, 전북CBS 보도국장 면담 및 제안서 전달했고 고차원 위원장 및 각 지부 노조위원장 배석한 자리에서 진행되었습니다.그 다음은 613 선거토론회 후보자들의 참석 현황도 전부 파악해 공개할 예정입니다! 유권자에게 충분한 검증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언론사 토론회, 정말 제대로 진행되어야 하는데 벌써 일부 후보자들은 보이콧 하겠다는 의사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관련 기사 보기:http://www.nocutnews.co.kr/news/4968359 제안서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http://www.malhara.or.kr/2668 2018. 5. 18.
2018전북지방선거미디어감시연대 방송 2차 보고서) 후보자 발언 따옴표 보도로 옮기기 사례 여전, 이것만은 하지 말자! 「2018 전북 지방선거 미디어감시연대」는 지난 4월 13일 발족식을 가졌으며 선언도 발표했다. 선거 보도 준칙 중 1. ‘오차범위 내 순위 매기기’ 여론조사 보도 2. 공약 실종 동정(유세) 보도 3. 보도자료 ‘받아쓰기’만큼은 지양하자는 의미이다. 본 감시연대는 발표한 선거 보도 준칙을 기본으로 전북 지역 선거보도 방송 4사 저녁 종합 뉴스(KBS전주총국 , 전주MBC , JTV전주방송 , 전북CBS )를 대상으로 양적 분석을 진행했다. 아래는 방송 보도 2차 양적 분석 보고서이며 매주 월요일마다 발표할 계획이다. 임정엽 후보자 출마, 도지사 선거 프레임 전환 시켜 - 후보자 발언 따옴표 보도로 옮기기 사례 여전, 이것만은 하지 말자! - - 방송사 저녁종합뉴스 ‘전북 지역 지방선거 관련 보도’ 2차.. 2018. 5. 14.
2018전북지방선거미디어감시연대) 선거를 돈벌이 수단으로 여기는 언론사의 부도덕한 행위를 제보받습니다. 지난 4월 9일 언론노조 전북협의회, 호남언론학회,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이 함께 「2018 전북 지방선거 미디어감시연대」를 구성하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지방선거는 풀뿌리 자치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데 가장 주요한 선거제도입니다. 6․13지방선거는 여러 가지 선거가 동시에 치러지고 있어 언론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하지만 언론으로서의 사명감보다 선거를 돈벌이 수단으로 여기는 일부 언론사의 부도덕한 행위로 전체 언론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행위가 여전히 반복되고 있습니다. 2018 전북 지방선거 미디어감시연대는 6․13지방선거 활동 계획 중 하나로 ‘언론사의 부도덕한 행위’에 대한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유권자들로부터 제보를 받고자 합니다. 선거를 돈벌이 수단으로 여기는 언론사의 부도덕한 행위를 제보받습.. 2018. 5. 14.
2018전북지방선거미디어감시연대) 전투형 판세분석 보도 유해하다! (20180508) 「2018 전북 지방선거 미디어감시연대」는 지난 4월 13일 발족식을 가졌으며 선언도 발표했다. 선거 보도 준칙 중 1. ‘오차범위 내 순위 매기기’ 여론조사 보도 2. 공약 실종 동정(유세) 보도 3. 보도자료 ‘받아쓰기’만큼은 지양하자는 의미이다. 본 감시연대는 발표한 선거 보도 준칙을 기본으로 전북 지역 종합일간지 3사(전북일보, 전북도민일보, 전라일보)를 대상으로 양적 분석을 진행했다. 아래는 신문 보도 1차 양적 분석 보고서이며 매주 월요일마다 발표할 계획이다. 전투형 판세분석 보도 유해하다! 전북 지역 종합일간지 ‘전북 지역 지방선거 관련 신문 보도’ 1차 분석 보고서 개요 Q1. 전북 지역 종합일간지 6․13지방선거 보도 비중은? 4월 23일부터 5월 4일까지 신문에서 6․13 지방선거에서 .. 2018. 5. 14.
2018 전북지방선거미디어감시연대 제안서) 유권자 알권리 확보를 위한 선거토론회 대응을 주문합니다! 지난 4월 9일 언론노조 전북협의회, 호남언론학회,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이 함께 「2018 전북 지방선거 미디어감시연대」를 구성하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지역 일간지 3사, 방송 4사, 통신 3사를 감시의 대상으로 하며 지역 현안과 관련 지역주간신문을 보도 비교 매체로 선정해 집중적으로 모니터를 하고 있으며 또한 비정기적으로 ‘나쁜 보도’를 선정하여 발표할 계획에 있습니다. 또한 지방선거와 관련해 언론 의제들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선거토론회입니다. 미디어선거 시대에 선거토론회는 적은 비용으로 후보가 자신의 정책과 이력을 광범위한 유권자들에게 알릴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입니다. 유권자 역시 토론공간을 통해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과 사회의 현안에 대해 학습하고, 의견을 형성하게 됩니다. 선거가 민주.. 2018. 5. 10.
[2018전북지방선거미디어감시연대 나쁜 선거보도 선정] 신뢰를 담보할만한 출처가 전부 익명? 신뢰를 담보할만한 출처가 전부 익명? 나쁜 선거보도 선정2018 전북 지방선거 미디어감시연대는 선거 시기에 한해 신문과 방송보도, 통신사의 선거 보도를 대상으로 나쁜 보도를 선정합니다. 아래는 2018년 5월 나쁜 선거보도 선정사유입니다. ○ 신뢰를 담보할만한 출처는 전부 익명 보도한 뉴시스 , 나쁜 선거보도 선정 뉴시스 전북취재본부 심회무 기자는 지난 4월 17일 민주당 지방선거 기획단이 건설 관련 문제 등 김승수 후보 주변을 둘러싼 일련의 의혹을 밝히기 위해 조사를 진행한다고 보도했다. 기자는 전주시장 단독공천으로 김승수 후보가 확실시 된 상황에서 ‘재조사 진행’이라는 보도를 통해 지역 사회에 확인되지 않은 추측성 정보를 유포했다. 하지만 이 기사의 신뢰를 담보할만한 출처는 모두 다 익명으로 보도되었.. 2018. 5. 8.
2018전북지방선거미디어감시연대) 관행적 동정 보도 줄고, 진보정당 공약 소개와 사실검증 보도 늘어(20180508) 「2018 전북 지방선거 미디어감시연대」는 지난 4월 13일 발족식을 가졌으며 선언도 발표했다. 선거 보도 준칙 중 1. ‘오차범위 내 순위 매기기’ 여론조사 보도 2. 공약 실종 동정(유세) 보도 3. 보도자료 ‘받아쓰기’만큼은 지양하자는 의미이다.본 감시연대는 발표한 선거 보도 준칙을 기본으로 전북 지역 선거보도 방송 4사 저녁 종합 뉴스(KBS전주총국 , 전주MBC , JTV전주방송 , 전북CBS )를 대상으로 양적 분석을 진행했다. 아래는 방송 보도 1차 양적 분석 보고서이며 매주 월요일마다 발표될 계획이다. 방송사 저녁종합뉴스 ‘전북 지역 지방선거 관련 보도’ 1차 분석 보고서 개요 Q1. 6․13지방선거 보도 비중은?4월 21일부터 5월 4일까지 방송에서 6․13 지방선거에서 관련한 보도는 총.. 2018. 5. 8.
2018 전북 지방선거 미디어감시연대) "새로운 국민주권 시대는 공정한 선거 보도로부터!" "새로운 국민주권 시대는 공정한 선거 보도로부터!" 2018년 지방 선거가 6월 13일 수요일에 치러집니다. 따라서 언론의 선거관련 보도도 늘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지방선거는 풀뿌리 자치 민주주의를 실현하는데 가장 주요한 선거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총선이나 대선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선거가 동시에 치러지는 지방선거에서 언론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지난 3월 28일 민주언론시민연합, 자유언론실천재단, 언론개혁시민연대 등 언론시민단체와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 등 언론현업단체 등 16개 단체는 ‘2018 전국 지방선거 미디어감시연대’ 발족 기자회견을 가졌습니다. 전북 지역도 언론노조 전북협의회, 호남언론학회,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이 함.. 2018. 4. 13.
선거보도 체크) 현직 프리미엄 강화시키는 지자체장 인터뷰 사례(20180406) 누구를 위한 기획 인터뷰인가? 현직 프리미엄 강화시키는 지자체장 인터뷰 사례 매년 연말과 연초에 지역일간지에 비중있게 등장하는 기획기사가 있다. 바로 ‘지자체 결산’과 ‘신년 계획 설계’를 담은 지자체 특집 기사다. 결산이라고 하지만 대부분 지자체장의 성과만을 부각시키고 있어 지자체장의 업적을 홍보해주는 효과가 크다. 이러한 특집 기사들은 대부분 지면에 기사를 써주는 대가로 광고비가 지급되는 광고형 기사로 추측된다. 2016년 분석한 전북대언론홍보예산 분석에서도 관공서 및 공공기관에서 지출한 광고성 기사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지자체 홍보비가 신문사의 주 수입원인 상황에서 지자체장을 부각시키고 광고비를 받는 지자체와 신문사간의 지면 거래는 권언유착의 통로로 작용될 수 있어 문제로 지적되어 .. 2018. 4. 5.
선거보도 체크) 의도적 누락일까? 선거보도 체크) 의도적 누락일까? 전북민언련에서는 전북 지역 언론의 6.13지방선거 후보군 보도 및 여론조사 보도에 대해 살펴봤다. 주요하게 살펴본 언론사는 전북도민일보 2017년 11월 22일 보도한 , 전북일보 2018년 1월 2일 보도한 , 같은 날 전라일보가 보도한 , 2월 14일 전북도민일보가 보도한 , 뉴스1 전북취재본부에서(이하 뉴스1전북) 1월과 2월에 걸쳐 진행했던 여론조사다. #전북도민일보 정읍·김제 여론조사 후보 선택 기준은 무엇인가 #전북일보 도지사 후보군 소개, 의도적 누락인가? 1. 전북도민일보 정읍·김제 여론조사 후보 선택 기준은 무엇인가 지난 2월 21일 정읍시장 출마를 선언한 이상옥, 정도진, 한병옥 후보자는 정읍시청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전북도민일보가 2월 14일 진행한 여.. 2018. 3. 14.
2017 대선미디어감시연대) ‘전북 몫 찾기’ 프레임에 함몰 된 지역 신문, 전라북도의 공약 제안을 ‘기획보도’화 - 평가 보완은 없어 (전북 지역 신문 보도 양적 분석 보고서 2차) [전북 지역 신문 보도 양적 분석 보고서(2차)] ‘전북 몫 찾기’ 프레임에 함몰 된 지역 신문 전라북도의 공약 제안을 ‘기획보도’화 - 평가 보완은 없어 신문 모니터의 목표는 선거보도의 보도량을 집계하고, 공정성, 유익성, 유해성을 판단하는 데 있습니다. 보도의 공정성은 정당의 등장 빈도 및 정당별 유‧불리를 나타내는 제목 표현의 경향성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보도의 유익성은 크게 세 가지를 점검합니다. ① 정책의 소개나 정책 검증 보도가 있었는지 ② 의혹 제기에 대한 사실 확인 혹은 사실 검증 보도가 있는지 ③ 시민사회 여론을 소개하고 반영하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보도의 유해성은 그동안 선거 관련 보도에서 지속적인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여러 문제 유형의 등장 유무를 통해 판단해보고자 합니다. 2017대선.. 2017. 5. 16.
2017 대선미디어감시연대) 전북 몫 찾기 주장하던 언론, 구체적으로 특정 인사 역할 거론하고 총리 후보 추천까지 전북 몫 찾기 주장하던 언론 일부 언론 , 보도에서 구체적으로 특정 인사 역할 거론하고 총리 후보 추천까지 2017 대선미디어감시연대는 대선 관련 전북 지역 신문‧방송 보도 모니터를 진행하고 보고서를 발행한다. 5월 10일 새 정부의 내각 인사 발표가 있은 후 5월 10일과 11일 전북 지역 신문과 방송에서는 전북 지역의 몰표에도 불구하고 인사 등용에 있어 공평하지 못했다는 내용이 주요하게 보도되었다. ■ ‘전북 지역 역할론’과 ‘전북 지역 인사 홀대’ 주요 보도 문재인 대통령의 첫 인사가 5월 10일 발표되었다. 10일 전북 지역 방송 4사는 이날 뉴스 보도의 대부분을 문재인 대통령의 전북공약, 전북 표심의 의미, 인사 발표와 관련해 할애했다. 11자 전북 지역 신문 4곳도 마찬가지였다. 전북 지역 신.. 2017. 5. 12.
2017대선미디어감시연대) 일평균 보도는 늘었으나 정책 검증의 구체성 부족해 (전북 지역 방송 보도 양적 분석 보고서 2차) [전북 지역 방송 보도 양적 분석 보고서 2차] 일평균 보도는 늘었으나 정책 검증의 구체성 부족해 2017 대선미디어감시연대는 대선 관련 전북 지역 방송 보도 모니터를 진행하고 양적 분석 보고서를 발행한다. 각 당의 5월 1일부터 8일까지 8일간의 선거 방송 보도의 경향을 짚어본다. 1. 보도량 비교 ■ 선거 관련 보도 전북 지역 방송 4사 일평균 11.4건 5월 1일(월)부터 5월 8일(월)까지 8일간 전북 지역 방송 4사 메인뉴스에서 대통령 선거 관련 보도는 전체 보도량 307건 중에 91건으로 29.6%를 차지했다. 방송사별 선거관련 방송 보도량을 비교하면 일평균 11.4건을 보도했다. 이는 지난 4월 6일~30일까지 일일 평균 선거 보도량 8.3건보다 늘어난 수치이다. 방송사 중 전주MBC가 32.. 2017. 5. 10.
2017 대선미디어 감시연대) 전북 지역 방송 4사, 유익 보도 비중 높았다. (전북 지역 방송 보도 양적분석 보고서 1차) [전북 지역 방송 보도 양적 분석 보고서 1차] 전북 지역 방송 4사, 유익 보도 비중 높았다 2017 대선미디어감시연대는 대선 관련 전북 지역 방송 보도 모니터를 진행하고 양적 분석 보고서를 발행한다. 각 당의 후보가 선출된 다음날인 4월 6일부터 30일까지 25일간의 선거 방송 보도의 경향을 짚어본다. 1. 보도량 비교 ■ 선거 관련 보도 전북 지역 방송 4사 일평균 8.3건 4월 6일(목)부터 4월 30일(일)까지 25일간 전북 지역 방송 4사 메인뉴스에서 대통령 선거 관련 보도는 전체 보도량 중에 17.6%를 차지했다.(총 보도량 1181건 중에 208건이 해당)방송사별 선거관련 방송 보도량을 비교하면, 지상파 방송의 경우 일평균 8.3건을 보도했다. 지상파 방송 중 KBS전주총국(22.4%)이 .. 2017. 5. 4.
2017 대선미디어감시연대) 전북일보, 국민의당 각종 논란에도 더불어민주당에는 ‘불리한 제목’만, 국민의당에는 ‘유리한 제목’만 달아 (신문 양적 분석 보고서 1차) 신문 모니터의 목표는 선거보도의 보도량을 집계하고, 공정성, 유익성, 유해성을 판단하는 데 있습니다. 보도의 공정성은 정당의 등장빈도 및 정당별 유‧불리를 나타내는 제목 표현의 경향성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보도의 유익성은 크게 세 가지를 점검합니다. ① 정책의 소개나 정책 검증 보도가 있었는지 ② 의혹 제기에 대한 사실 확인 혹은 사실 검증 보도가 있는지 ③ 시민사회 여론을 소개하고 반영하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보도의 유해성은 그동안 선거관련 보도에서 지속적인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여러 문제유형의 등장유무를 통해 판단해보고자 합니다. 2017대선미디어감시연대는 대선 관련 전북 지역 신문보도 모니터를 진행하고 매주 1회 양적 분석 보고서를 발행하고자 합니다. 대선 관련 보도란 신문의 경우, 총 4개 신문의 .. 2017. 4. 24.
20대_총선_전북지역_선거결과/ 출구조사결과/ 여론조사결과 모음 20대_총선_전북지역_선거결과/ 출구조사결과/ 여론조사결과 모음 * 상세한 내용 확인하기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NDw9J0K7h7DbFNtBt08gmYLKOKg-T8SZTDZlDIik0qU/edit?usp=sharing 2016. 4. 14.
방송3사 합동 출구조사 결과/ 기존 여론조사 결과 비교 방송3사 합동 출구조사 결과/ 기존 여론조사 결과 비교 * 상세한 내용 확인하기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VhTVvx0bZ-o7ky6A00OCcpbINZL9Xd_w-dX6YmLM8p0/edit?usp=sharing 2016. 4. 13.
20대 총선 전북지역 주요 여론조사 결과 모음 (20160413) 전주KBS/전북일보 (㈜ 한국리서치) 뉴스1 전북취재본부 (여민리서치컨설팅) 전주MBC, JTV전주방송, 전북도민일보 ((주)코리아리서치센터)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에서 확인 가능 (코리아리서치센터 내용은 곧 추가할 예정) * 상세한 내용 확인하기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2Y4LUENidsmhJ4LM-q0YNI_hCWTjOx7O7vGZhNtjl14/edit#gid=1317993400 2016. 4. 13.
20대총선 전북선감연) 여론조사 보고서 2차_ 여론조사 과연 믿을 수 있을까 - 전주시병 선거구 사례를 중심으로 20대총선 전북선감연) 여론조사 보고서 2차 여론조사 과연 믿을 수 있을까 -전주시병 선거구 사례를 중심으로 20대 총선과 관련하여 시행된 전북지역 여론조사는 총 97건이며 이중 약 45건이 4월 중에 조사되고 발표 되었다. 후보 캠프에서 대세론을 일으키기 위해 자신한테 유리한 결과만을 취사선택해 홍보하는 사례가 20대 총선에서는 더욱 심각하게 나타났다. 같은 날 다른 결과가 나오는 여론조사를 보며 유권자들은 혼란스러웠을 것이다. 유세초기에는 밴드웨건 효과를 노리고, 접전 상태에서는 사표방지 심리를 일으키면서 유권자들을 향한 여론조사 결과 홍보는 대단한 유세 활동 중 하나가 된다. 후보자들이 여론조사 결과에 공을 들이는 이유가 결국은 ‘정치적’ 성과를 취득하기 위한 것 중 하나라 볼 수 있다. 전주시병의.. 2016. 4. 13.
선거토론회 불참 후보자 현황입니다. (4월 11일 기준) 선거토론회 불참 후보자 현황입니다. (4월 11일 기준) 김제부안/김효성(2회)/ 새누리당 남원임실순창/김용호(1회)/ 새누리당 익산갑/김영일(1회)/ 새누리당 김제부안/김종회(3회)/ 국민의당 완주무진장 /임정엽(1회)/ 국민의당 정읍고창/유성엽(1회)/ 국민의당 완주무진장 /안호영(3회)/ 더불어민주당 정읍고창/이강수(1회)/ 무소속 * 상세한 내용 확인하기 * 첨부파일 확인 2016. 4. 11.
4·13 익산시장 재선거 언론환경 정상화를 위한 공개 질의 답변 결과 4·13 익산시장 재선거 언론환경 정상화를 위한 공개 질의 답변 결과 1. 안녕하십니까. 2.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은 익산의 언론환경 정상화를 위해 전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익산참여연대, 익산희망연대와 함께 4.13 익산시장 재선거 후보자들에게 지난 3월 30일 공개 질의했습니다. 3. 현재 익산시청에 출입하는 언론사는 방송통신사 10개사, 지역일간지 14개사, 지역주간지 4개사, 인터넷신문 7개사 등 총 35개사에 이르고 있습니다. 다양한 매체가 시장 내에 진입한다는 것은 그만큼 여론다양성에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한 일입니다. 하지만 익산지역 언론환경이 바람직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지자체 및 정치세력과 언론간의 관계가 왜곡되고 있으며 기자단 내부의 갈등도 방.. 2016. 4. 8.
선거토론회 불참 후보자 현황입니다. (4월 7일 기준) 선거토론회 불참 후보자 현황입니다. (4월 7일 기준) 김제부안/김효성(2회)/ 새누리당 남원임실순창/김용호(1회)/ 새누리당 익산갑/김영일(1회)/ 새누리당 김제부안/김종회(3회)/ 국민의당 완주무진장 /임정엽(1회)/ 국민의당 정읍고창/유성엽(1회)/ 국민의당 완주무진장 /안호영(3회)/ 더불어민주당 정읍고창/이강수(1회)/ 무소속 2016. 4. 7.
지역미디어공공성 10대 의제 정당, 후보자 답변결과 △ 20대 총선 전북시민사회 정책과제 후보자 수용성 평가 발표 공동기자회견_ 지역미디어공공성 의제 발표 중 [보도자료] 지역미디어공공성 10대 의제 답변결과 1. 안녕하십니까. 2.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은 전북언론노조협의회, 전북시민사회단체(전북환경련,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전북여연), 호남언론학회와 함께 2016년 2월 17일 언론의 불법, 탈법사례를 감시할 ‘20대총선 전북선거보도감시연대회의’(이하 20대총선 전북선감연)를 구성했습니다. 3. 20대총선 전북선감연은 그동안 꾸준하게 지역사회 내에서 요구되어 온 내용들을 바탕으로 지역미디어공공성 10대 의제를 정리했습니다. 전북 10개 선거구 총선후보자들에게 질의했으며 6개 원내 정당에는 의제 채택을 요구했습니다. 질의서는 우편과 이메일을 통해 체크했습니.. 2016. 4. 7.
20대 총선 토론회 후보자 참석 현황 20대 총선 토론회 후보자 참석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현재 토론회 개최사 현황 및 후보자 초청기준, 그리고 불참한 후보자들의 사유도 함께 기재했습니다. 4월 5일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향후에 자료를 보완하여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토론회 불참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김제부안/ 김효성/새누리당 2회 남원임실순창/ 김용호/ 새누리당 1회 정읍고창/ 이강수/ 무소속 1회 김제부안/ 김종회/ 국민의당 3회 완주무진장/ 임정엽/ 국민의당 1회 완주무진장/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3회 요약 크게보기 2016.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