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언론브리핑 (2015/01/15)
1) 문제는 사후관리야! 감사원에서 입증한 전북도‧전주시의 버스 보조금 엉터리 집행 실태 - 사주에 팔아버린 저널리즘 윤리_전북도민일보 편파보도의 종결자인가? |
1) 문제는 사후관리야! 감사원에서 입증한
전북도, 전주시의 버스 보조금 엉터리 집행 실태
- 사주에 팔아버린 저널리즘 윤리_전북도민일보 편파보도의 종결자인가?
전북지역 시외시내버스 사업자에게 지급하던 버스보조금 관리실태에 대해 감사원의 지적이 있었다.
감사원이 지난 13일 발표한 ‘교통관련 보조금 집행 실태 감사 보고서’에 따르면 전북도는 지난 2013년 전북지역 시외버스 운송사업자들에게 모두 58억여 원의 재정 지원금을 주었다. 버스회사에 지원된 58억 원은 비수익, 벽지 노선 운행에 따른 손실 보전금이다. 그러나 업체의 이윤과 보조금 정산 등이 부적절했으며 일부 시내버스회사가 국고 보조금을 받아 구입한 버스를 담보로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아썼다는 지적이 나왔다.
감사원 발표 다음날 14일 새전북신문은 1면 머리기사와 사설, 기자수첩 등을 통해 책임을 물어야 함을 명백히 강조했다. 전북일보도 다음 날 사설에서 전북도와 전주시는 버스회사에 과다하게 지원한 돈을 전액 회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두 신문은 전북도와 전주시에서 세심한 검증을 했다면 감사원의 이런 지적을 없었을 일이라며 시민의 발을 위해 쓰여지는 보조금인 만큼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함을 지적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에서 알고도 묵인한 미필적 고의 상황, 또는 짬짜미가 의심될 수밖에 없는 상황임을 지적했다.
그간 버스 보조금과 관련해 일부 언론과 시민사회단체는 투명하게 집행되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했으나 지자체가 이에 대해 정확한 사실을 밝히지 않고 입장을 묘하게 바꾸면서 의혹만을 증폭시킨 상황이었다.
그런점에서 새전북신문에서 1년 동안 이 사건을 취재했던 정경재 기자의 말은 버스보조금 사태와 관련된 행정의 일면을 압축해서 보여준다. 기자는 14일 <기자의 눈>을 통해 “항상 같은 말을 반복하기에 흡사 녹음기를 틀어놓은 것 아닌가 착각이 들 정도였다. 대중교통 업무를 담당하는 전주시 공무원들은 보조금 집행과정의 특혜 의혹을 제기할 때마다 강한 부정을 거듭했다... 헌데 언제부턴가 ‘절대 아니다’고 외치던 그들의 목소리가 조금씩 수그러들었다. 그동안 앵무새처럼 반복했던 말 대신 ‘몰랐다’는 해명이 입에 붙었다. 부도덕한 버스회사들이 몰래 쓴 돈을 어떻게 알 수 있겠느냐는 대답이다”고 밝혔다. 또한 “무능하거나 혹은 부도덕한 전주시 버스 담당 공무원들이 기어코 전국적인 망신을 불러 온 셈이다. 전주시가 그 동안 목이 터져라 내놓은 해명이 옳았다면 서슬 퍼런 감사에 적발돼 지자체 이름이 오르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고 평가했다.
전북일보도 15일“이들의 수상한 업무 처리도 짚고 넘어가야 한다. 공무원이 똑같은 자료를 검토해 사실관계를 따지는 업무인데 전북도 공무원은 그냥 넘어갔다. 그러나 감사원 공무원은 과다 계상된 사실을 밝혀냈다. 무려 61대의 노후버스가 감춰졌는데 전주시 담당 공무원이 몰랐다는 것도 웃기는 일이다. 오이밭에서 신발끈 고쳐매지 말라고 했다. 담당공무원이 버스회사, 용역회사 등과 짬짜미했다는 비난을 어찌할 것인가. 공무원의 일처리는 오직 엄정하고 빈틈이 없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1월 15일 <버스 보조금 눈먼 돈 비난 방치할텐가>)
KBS전주총국도 첫 꼭지에서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감사원의 지적 내용을 전달했다.
1월 14일 전북일보 <감사원 “전북도, 버스 보조금 과다 지급”>(6면 3단기사)
1월 14일 전라일보 <전북 버스업체 보조금 관리 ‘허술’>(2면 2단기사)
1월 14일 새전북신문 <눈먼 돈으로 전락한 버스 보조금>(1면 4단기사)
<“전주시는 감사결과 반성하고 행정에 반영해야”>(6면 3단 박스기사)
<버스회사 과도한 손실보전금, 책임 물어야>
1월 14일 전주MBC <전주 시내버스 감사원 지적>(단신)
1월 14일 KBS전주총국 <줄줄 새는 ‘버스 보조금’>
1월 13일 JTV <"전주 버스회사 손실금 계산 일부 부적정">(단신)
1월 15일 전북일보 <버스 보조금 눈먼 돈 비난 방치할텐가>(사설)
행정의 관리 감독 소홀이 버스사업주의 불법 운행을 방치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시내버스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해치고 결과적으로는 시민의 세금을 낭비했다. 시내버스 운영 전반에 대한 심도있는 점검이 필요한 갈림길에 놓여있는 상황에서 엄격한 집행을 통해 시민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대중교통 전반을 개혁하는 모습이 필요하다.
문제는 지역언론이다.
이번에도 역시 호남여객 대주주인 전북도민일보는 관련보도가 전혀 없었다. 이는 지난번 신성여객 도시가스 체납 건에도 유사하게 발생했던 보도행태다.
전북민언련에서는 1월 9일 브리핑에서도 “막대한 보조금 투입에도 불구하고 전주시내버스 업계 전반에 구조적 결함이 내재되어 있으며, 결과적으로 관리감독기관인 전주시의 대응이 적절했던 것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며 “특히 시내버스회사의 회계투명성이 부재하다는 지적이 계속되어 왔다는 점에서, 지역언론에 이 부분에 대한 심층적인 취재를 부탁하는 건 지나친 걸까?”라고 사실관계 확인을 위한 취재 노력을 부탁했었다.
전북도민일보는 편파보도의 종결자인가?
전북도민일보가 견지한 버스 편파보도는 지난 2009년부터 한결같다.
2011년 일일브리핑에서 썼던 구절은 이후 4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해결되지 못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사주에 팔아버린 저널리즘 윤리라는 비판을 받는 이유이다.
이미 몇차례 말했듯, 전북도민은 버스회사인 호남고속과 특수한 관계를 맺고 있는 신문이다. 호남고속 사주인 김택수는 전북도민의 최대주주로 현재 전북도민의 발행,인쇄,편집인이다. 그런 상황에서 버스파업과 관련 전북도민에게 불편부당함과 객관성을 바라는 게 어찌보면 연목구어(緣木求魚)일지 모르겠지만, 그래도 전북도민의 보도 경향은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이 들 만큼 편파성이 크다. 거칠게 말해 전북도민은 편파보도의 종결자다 2011/2/25 전북민언련 일일브리핑 |
다음은 1월 15일 전북 지역 일간지 1면 머리기사 제목 및 1월 14일자 지역 방송사 뉴스 첫 꼭지다.
전북일보 <“전주상의 차기 회장 제대로 된 인물 뽑자”>
전북도민일보 <‘막장으로 치닫는’ 새정치>
전라일보 <전국서 가장 비싼 수돗물 연간 500억원어치 ‘줄줄’>
새전북신문 <개인과외 ‘홈스쿨’ 떠오른다>
전주MBC 뉴스데스크 <하수관거 전면 재조사해야>
KBS전주총국 9시 뉴스 <줄줄 새는 ‘버스 보조금’>
JTV 8시 뉴스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 5곳뿐>
전북CBS <>
2015년 1월 15일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직인생략)
'모니터 > 지역 언론 모니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은행에 대한 지역 언론의 보도 경향 모니터) 과연 이대로 좋은 걸까? (0) | 2015.01.26 |
---|---|
지역언론브리핑) 뜬금없는 새전북신문의 전북은행 띄우기 보도, 누구를 위한 보도인가? (2015/01/15) (0) | 2015.01.15 |
지역언론브리핑) 기싸움으로 보도되는 서남대 인수 보도 및 정동영 신당 합류 (2015/01/13) (0) | 2015.01.13 |
지역언론브리핑) 나홀로 외면, 전북도민일보 '너' 떨고있니? (2015/01/09) (0) | 2015.01.09 |
지역언론브리핑) “자본가엔 솜방망이…노동자에겐 쇠몽둥이”-어디 사법부 뿐이겠는가? (2015/01/06) (0) | 2015.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