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보복 취재와 부업으로 연명하는 사이비 기자는 퇴출해야 한다.
비판 기사를 앞세워 광고비를 강요하고, 관변단체 임직원을 겸직해 부업 논란까지 낳은 임실 지역 기자에게 검찰이 지난 3월 징역 3년을 구형했다.
해당 기자는 임실군에 소재한 인터넷신문 발행인이며 동시에 도내 인터넷신문과 뉴스통신사의 프리랜서 기자로 활동하면서 임실군 관변단체 임원을 겸직했는데 인건비를 보조금에서 지급받은 것으로 나타나 이해충돌 논란을 낳았다. 또한 해당 기자는 관변단체 임원 자리를 맡는 과정에서 기자 권한을 활용하며 공익적 목적의 보도를 사적 이익 추구를 위한 도구로 썼다는 비판을 받았다.
더 큰 문제는 2018년부터 임실군을 출입하며 비판 기사를 빌미로 광고비를 강요한 정황이다. 부당한 광고요구를 일삼고, 보복 취재에 대한 우려까지 발생하면서 임실군청공무원노조를 비롯한 전북시군공무원노동조합연맹에서는 해당 기자에 대한 출입제한 조치 요구 및 적폐 언론 행위에 대한 전면 투쟁까지 거론하게 되었다.
이처럼 반복되는 언론인의 사이비 행위를 보는 우리의 심정은 참담하다. 지역 언론사의 윤리 의식과 처우개선 대책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반면, 언론 윤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기자들과 행정 일선이 느끼는 박탈감과 모멸감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언론에 대한 낮은 신뢰의 원인인 ‘구조와 관행’을 바로잡지 않는 이상 유사한 문제는 재발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점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첫째, 언론계는 사이비 기자들이 돌아올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지 말아야 한다. 특히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넷신문 및 통신사들은 지역독립법인이라며, 또는 프리랜서 기자라는 이유로 자사 지역 기자의 이해충돌 행위를 방치했으며, 지역의 일부 일간지에서는 인력 부족과 광고 영업의 필요성을 이유로 문제의 기자가 복귀하는 것을 허용하기도 했다. 사이비 기자가 돌아오는 발판을 지역 언론사가 제공하고 있다는 비판을 모면하기 위해서라도 구조 개혁과 자율정화 의지를 앞장서서 천명해야 할 것이다.
둘째, 사법부의 엄중한 처벌을 촉구한다. 기자의 보복 취재와 겸직 등 부업 논란이 빈번히 발생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솜방망이 처벌 때문이기도 하다. 문제 행위를 반복해도 괜찮다는 학습효과가 계속되는 한 위와 같은 사건은 계속해서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사법부가 해당 기자를 엄중하게 처벌해 나쁜 구조와 관행을 끊어내는 사례로 삼기를 간절히 바란다.
지역사회의 강력한 제재와 감시, 사법부의 엄중한 처벌을 통해 이번 임실 기자 사건이 보복 취재와 부업으로 연명하는 사이비 기자가 퇴출되는 계기가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