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니터/전북주요뉴스 '피클'

전주리싸이클링타운 폭발 사고 원인 메탄가스, 왜 발생했나?(뉴스 피클 2024.08.08.)

by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2024. 8. 8.

오늘의 전북민언련 뉴스 콕!

전주리싸이클링타운 폭발 사고가 일어난지 3개월여가 지났습니다. 폭발 사고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메탄가스가 어떻게 저류조에서 발생했는지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는데요. 처리할 음폐수를 당초 설계보다 더 많이 투입한 것이 원인 아니냐는 추정이 나옵니다. 한편 전북CBS는 폭발 사고 생존자를 직접 만나 취재한 내용을 보도하고 있습니다.

 

#음폐수 과다 투입으로 예상보다 많은 메탄가스 발생했나?

7월 23일 전주MBC는 “경찰은 사고 발생 지점 바로 아래층에 있는 음폐수 슬러지 저류조에서 메탄가스가 새어나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라고 보도했습니다. 문제는 운영사 측 설명대로라면 사고 발생 지점에서는 메탄가스가 발생하면 안 되는 구조라는 겁니다.

전주MBC는 “몇 년 전 퇴비화를 중단하고 처리량을 늘린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련성 여부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2019년부터 일부 공정과 설비를 변경한 뒤 유기물의 양이 많은 음폐수를 타 지역에서 반입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현장에서는 미생물의 처리 능력보다 반입량이 늘어나면서 충분히 소화되지 않은 찌꺼기가 저류조에 반입된 것 아니냐, 결국 가스가 발생해 폭발로 이어진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라고 정리해 보도했는데요. 7월 24일 보도에서 노동계와 정치권이 메탄가스 발생 원인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한 사실을 보도했습니다.

8월 7일 후속 보도에서는 “실제 2019년 공정 변경으로 음폐수 투입량이 대폭 증가하면서 메탄가스 발생량도 크게 증가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라며 의문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는데요. 메탄가스 발생량이 당초 계획보다 최대 1.6배나 많아졌는데 때문에 음폐수 권장 투입량과 설계 용량을 넘겨 투입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겁니다.

8월 7일 오전 전주시민회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올라온 2023년 (주)전주리싸이클링에너지 감사 보고서 중 매출액 부분을 인용해 “전주시로부터 매년 받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 약 120억 원 외에 전기 발전을 해서 15억 원 전후, 타지역 음폐수 반입 처리와 플라스틱 등 재활용 처리비용으로 매년 약 30억 원의 수익을 발생시키고 있다.”라고 주장했는데요. 아래 표의 ‘기타수입’ 부분을 음폐수 반입 처리와 재활용 처리 등으로 발생한 매출로 추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 참고. 2023년 (주)전주리싸이클링에너지 감사보고서

[전주리싸이클링에너지]감사보고서(2024.04.04).pdf
0.34MB

 

타지역 음폐수 반입의 경우 전주시 음식물 처리시설 운영 계약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며 운영사가 계약에도 없는 수익을 얻으려고 불법으로 과도하게 타지역의 음폐수를 반입한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전주MBC] 저류조에서 왜 '메탄가스'.. '반입량' 확대 때문?(7/23, 전재웅)

[전주MBC] "재활용 시설 의문의 폭발".. 노동계·정치권 '규명 촉구'(7/24, 전재웅)

[전주MBC] "터질 게 터진 거다".. 메탄가스 최대 1.6배 발생(8/7, 전재웅)

 

#폭발 사고 생존자, 과도한 음폐수 반입과 작업지시 있었다고 증언

전북CBS 노컷뉴스는 전주리싸이클링타운 폭발 사고 생존자를 직접 만나 당시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관련 보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선 사고 발생 상황에 대해 노후화된 청호스를 교체하기 위해 야간작업에 투입됐는데, 교체가 필요한 세 곳 중 한 곳은 외주업체에서 파견나온 외국인 노동자들이 작업해 끝냈지만 나머지 두 곳에 대한 작업이 남아 작업자 5명이 저녁 작업에 투입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8월 7일 자 전북CBS 노컷뉴스 홈페이지 보도 화면 편집

이어 사고 원인으로 두 가지를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과도한 음폐수 투입으로 인해 충분히 소화되지 못한 슬러지가 저류조에 모여 메탄가스 발생량이 많아졌다는 것, 또 노후화된 배관에 남아있던 찌꺼기가 메탄가스를 발생시켰다는 겁니다.

특히 외부 음폐수 반입에 대해서는 “사고가 발생하기 한 달 전부터 음폐수 반입량이 최대치였다.”라고 증언했는데요, 다만 외부 음폐수 반입량이 늘어난 이유는 상급자들만 안다며 잘 알지 못한다고 밝혔습니다.

전북CBS 노컷뉴스는 전주시가 음폐수와 관련된 감사 결과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이미 중복 감사를 이유로 감사원에서 각하된 내용임에도 전주시가 자료를 은폐해 오해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메탄가스 발생 원인뿐만 아니라 사고 당일 사측의 작업지시가 있었는지 여부도 쟁점 중 하나인데요. 앞서 운영사인 성우건설 측은 “사측에 보고없이 팀장급 직원들의 자체 판단하에 진행된 작업으로 본인들의 애사심이라든지, 사명감 때문에 작업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밝힌 적이 있습니다. 사고 당일 배관 작업에 대해 운영사 측은 알지 못했다는 취지입니다.

그러나 생존자는 사측의 인터뷰를 보고 분노했다며 작업 지시가 있었다고 증언했습니다. “다른 업무를 하다가 청호스 교체 작업에 인력 지원이 필요하니까 이동하라는 지시를 받고 오전에 교체 업무에 투입이 됐다. 하루 종일 교체 업무를 하고 6시 42분까지 작업을 했던 건데 회사가 지시한 적이 없다고 말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밝혔습니다.

전북CBS 노컷뉴스는 “운영사 측이 외주업체를 통해 청호스 교체 작업을 지시해, 청호스 교체가 필요한 시기였음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주장이 나온다. 운영사 측의 직접적인 지시가 없었다는 가정에서도 배관 작업을 미필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그대로 방치한 채로 작업이 이루어졌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라고 정리했습니다.

 

[노컷뉴스전북] 전주리싸이클링타운 폭발 사고 생존자 "'펑' 소리와 비명, 여전히 악몽"[영상](8/6, 김대한)

[노컷뉴스전북]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생존자 "폭발 사고, 잔여 찌꺼기·과도한 음폐수 원인"(8/7, 김대한)

[노컷뉴스전북] 전주리싸이클링타운 가스 폭발…"작업 지시 있었다"(8/8, 김대한)

 

#전주시와 운영사의 책임은 어디에? 근본적인 개선 필요하다는 지적도

한편 8월 5일 전북일보는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운영사들 사이에서 전주시의 제대로 된 지원이 없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라고 보도했습니다. 실시협약 변경에 따른 관리운영 수수료 2년분 미지급과 더불어 시설 수리비 등 지원이 전혀 없다고 주장한 건데요. 전주시는 2016년 민간자본투자 사업 방식으로 설립돼 협약에 명시된 대로 시설 보수는 운영 업체가 맡아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전북일보는 이뿐만 아니라 폭발 사고와 관련된 피해자 지원과정에서 전주시가 직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것은 ‘시민안전보험’ 외에는 근거가 없다며 “시설의 소유권을 가진 전주시가 피해 지원과 시설 복구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점을 두고 일부에선 인명피해가 발생한 사고에 대해 지자체가 도의적 책임을 다하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라고 보도했습니다.

6일 이어진 사설에서는 “현재 주관 운영사인 성우건설은 물론, 지배주주 격인 태영건설, 주관 운영사가 폐기물 처리 경험이 없는 성우건설로 변경되는 것을 승인한 전주시 어느 누구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 “시민들이 보기에 전주시와 업체 모두 제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다는 것만은 분명하다.”라고 주장했는데요. 전주리싸이클링타운 운영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주목이 필요해 보입니다.

 

[전북일보 인터넷] 폭발사고 이후 세 달…전주리싸이클링타운 개선 과제 '속속'(8/5, 김태경)

[전북일보 인터넷] 종합리싸이클링타운 혁신적인 운영을(8/6, 사설)

댓글